IT지식/Computer Science

IP 클래스리스와 서브넷마스크(Subnet Mask), 서브네팅(Subneting)에 대해 알아보자

맨땅에헤딩개발자 2025. 1. 12. 22:27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한 클래스풀에 대한 글을 참조하면 도움이 됩니다.

https://steady-snb.tistory.com/33

 

IP 클래스(class)에 대해 알아보자

 

steady-snb.tistory.com

 

위 포스팅에서 설명한 클래스기반의 IP주소 체계를 클래스 풀(Classful)이라고 부릅니다.

기존의 클래스 풀 방식은 주소 낭비가 적은 효율적인 방법이였지만

스마트기기 상용화로 인해 인터넷에 연결되는 호스트 숫자가 급격하게 늘어남에 따라 더 이상 효율적이지 못한

방식이 되었습니다.

 

현대에는 이러한 IP주소 낭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가지 방법을 고안해냈는데

 

1. 단기 대책인 클래스리스,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기반의 주소체계

2. 중기 대책인 NAT과 사설 IP주소

IPv6 에 대해 알아보기 - https://steady-snb.tistory.com/35

3. 장기 대책인 IPv6

IPv6 에 대해 알아보기 - https://steady-snb.tistory.com/32

 

그 중 하나가 IP클래스리스입니다.

현대에는 대부분 IP클래스리스를 이용합니다.

 

클래스리스 네트워크에서는 별도로 네트워크와 호스트 주소를 나누는 구분자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 구분자를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라고 부릅니다.

 

서브넷 마스크는 IP주소와 네트워크 주소를 구분할 때 사용하는데 2진수 숫자 1은 네트워크 주소,

0은 호스트 주소를 나타냅니다. 보통 우리가 편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10진수를 사용해 255.0.0.0와 같이

나타냅니다.

예를들어 103.9.32.146 주소에 255.255.255.0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는 IP는 네트워크 주소가 103.9.32.0 이고

호스트 주소는 0.0.0.146이 됩니다. 서브넷 마스크가 2진수 1인 부분(10진수 255인 부분)은 IP숫자가 그대로

연산 결과가 되고 서브넷 마스크가 0인 부분은 모두 0으로 변경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