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file이란?
Docker이미지는 Docker hub를 통해 다운받아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Docker이미지들은 누군가에 의해 생성되어 Docker hub에 올려놓은 것입니다.
이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선 Dockerfile을 이용해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Dockerfile은 이미지 생성을 위한 파일입니다.
BaseImage생성 방법
* BaseImage : 컨테이너를 새로 띄워서 환경을 구축할 때 기본적으로 프로그램이 어떤게 깔려있으면 좋을지 선택하는 옵션같은 것을 정의해놓은 파일
우선 shell을 실행 후
mkdir docker-image 입력 후
cd docker-image를 통해 해당 폴더 내로 들어가줍니다.
eclipse나 intellij같은 편집툴을 여셔서 만들어준 폴더를 열어줍니다.
불러온 폴더 내에 Dockerfile이라는 파일을 생성해줍니다.
파일 내에 From openjdk:17-jdk를 입력하고 저장해줍니다.
shell로 돌아가셔서
ls로 Dockerfile이 제대로 생성됐는지 확인 후
# docker build -t [이미지명]:[태그명] [Dockerfile이 존재하는 디렉터리 경로]
docker build -t my-first-image . 을 입력해줍니다(여기서 .이란 현재 디렉토리를 의미합니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docker image ls 를 입력하여 잘 생성되었는지 확인해봅시다.
생성된 이미지를 활용하여 컨테이너를 실행해봅시다.
docker run -d my-first-image 입력 후 docker ps 입력해보시면 밑의 그림과 같이 잘 실행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STATUS에 Exited(종료)라고 뜨는 분들이 있으면
왜 종료되었는지 로그를 확인하려고 컨테이너에 접속을 하려고 하는데
docker exec -it d666 bash
Error response from daemon : container d666..... is not running 이라는 오류를 만났을 겁니다.
말 그대로 컨테이너가 종료되어 접근할 수 없다는 것 입니다.
즉 종료된 컨테이너에 대한 로그를 볼 수 없다는 것인데 이것에 대한 블로그는 다음 글을 참고하세요.
https://steady-snb.tistory.com/76
도커(Docker) 종료된 컨테이너 강제로 로그 조회
ㄹㄹ
steady-snb.tistory.com
출처 - 인프런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ocker 입문/실전 중..
'IT지식 > 도커(Docker) 사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도커(Docker) copy로 파일 복사/이동 하기 (0) | 2025.02.12 |
---|---|
12. 도커(Docker) 종료된 컨테이너 강제로 로그 조회 (0) | 2025.02.11 |
9. 도커(Docker)로 MySQL 실행하기 (0) | 2025.02.10 |
7.컨테이너 내부 접속하기 (0) | 2025.02.10 |
6.컨테이너 로그 조회 및 삭제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