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도커의 볼륨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컨테이너의 특성과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컨테이너의 특성과 문제점
도커는 컨테이너를 활용해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에 기능이 추가되면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여 컨테이너를 재실행해야한다.
기존 컨테이너에 변경된 부분을 추가하는게 아닌 새로운 컨테이너를 생성해 통으로 갈아끼우는 방식으로 교체를 합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기존 컨테이너에 저장했던 데이터가 날라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특징을 방지하고자 볼륨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었습니다.
도커(Docker)의 볼륨이란?
도커 컨테이너에서 데이터를 영속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컨테이너 자체의 저장 공간을 사용하지 않고, 호스트 자체의 저장 공간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형태입니다.
볼륨(Volume)을 사용하는 명령어
$ docker run -v [호스트의 디렉토리 절대경로]:[컨테이너의 디렉토리 절대경로] [이미지명]:[태그명]
명령어의 특징
* [호스트의 디렉토리 절대 경로]에 디렉토리가 이미 존재할 경우, 호스트의 디렉터리가 컨테이너의 디렉터리를 덮어씌운다.
* [호스트의 디렉토리 절대 경로]에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호스트의 디렉터리 절대 경로에 디렉터리를 새로 만들고 컨테이너의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들을 호스트의 디렉터리로 복사해온다.
이 특징에 대해 이해가 잘 안가시는 분들은 이 부분을 실습한 블로그 글을 참조해주세요
https://steady-snb.tistory.com/72
도커(Docker)로 MySQL 실행하기
hub.docker.com 에 접속해 mysql을 검색해보시면 이미지 사용법에 대해 자세히 나와있는데 한번 읽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shell에 명령어를 입력합니다.docker run -e MYSQL_ROOT_PASSWORD
steady-snb.tistory.com
출처 - 인프런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ocker 입문/실전 중..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ocker 입문/실전 강의 | JSCODE 박재성 - 인프런
JSCODE 박재성 | , 🤬 에라이, 못 해먹겠네!비전공자로 개발을 시작해 여러 회사에서 CTO로 활동하다가, 현재는 교육자로 활동하고 있는 박재성이라고 합니다. 저도 비전공자로 개발을 시작해 서버
www.inflearn.com
'IT지식 > 첫 번째 사이드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애 첫 사이드 프로젝트 (0) | 2025.02.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