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상태 코드는 클라이언트가 보낸 HTTP요청이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를 숫자로 나타낸 것 입니다.
기본적으로 네이버에 접속 후 개발자 도구를 키시고 네트워크 탭을 보시면
위의 그림과 같이 Status에 200이라고 떠있는걸 볼 수 있는데 이것이 HTTP 상태 코드입니다.
이 코드값은 크게 보면 앞의 숫자에 따라 위의 그림과 같은 상태를 담당하고
뒤에 세부적으로 따라오는 숫자에 따라 원인을 다르게 나타냅니다.
[웹 프로그래밍] HTTP 상태 코드 표(100 ~ 500) 전체 요약 정리
서버에서의 처리 결과는 응답 메시지의 상태 라인에 있는 상태 코드(status code)를 보고 파악할 수 있습니다. 상태 코드는 세 자리 숫자로 되어 있는데 첫 번째 숫자는 HTTP 응답의 종류를 구분하는
hongong.hanbit.co.kr
🌐 HTTP 상태 코드(1XX ~ 5XX) 종류 총정리
HTTP Status Code HTTP의 상태 코드는 클라이언트가 보낸 HTTP 요청이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를 서버에서 알려주는 숫자 코드다. 개발자 도구의 네트워크 탭을 보면 아래와 같이 Status 숫자 코드로 요청
inpa.tistory.com
'IT지식 >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메서드 멱등성의 정의와 API에서 멱등성 구현법 (3) | 2025.01.18 |
---|---|
HTTP메서드 GET, POST의 정의 및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5.01.18 |
세션과 토큰을 이용한 로그인 인증 방식의 장단점 (0) | 2025.01.15 |
로컬 스토리지, 세션 스토리지, 쿠키의 정의와 차이점 (2) | 2025.01.14 |
공인IP와 사설IP 그리고 NAT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5.01.12 |